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48

대출금리가 추가 하락한다! 언제부터 얼마나 떨어질까? 부동산 최근 동향 정리! 주담대 변동금리가 추가 하락했다? 앞으로 더욱 하락할 전망인 대출금리 부동산 최근 동향 확인해보자! 미국 실리콘밸리 뱅크(SVB) 파산 사태의 여파로 국내 은행의 대출금리 하락 전망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긴축 기조 완화와 국내 한국은행의 동결 가능성 ↑ 은행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자금조달지수(=코픽스, COFIX)와 채권금리는 이미 하락세 → 올해 2월 신규 코픽스는 전월 대비 0.29%p 하락한 3.53% 기록 # 코픽스(COFIX) : 국내 8개의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 -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변동이 반영된다. - 코픽스가 떨어지면 그만큼 은행은 적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은행이 대출을 내줄 때 더 낮은 금리를 매길 ..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3. 23.
미분양이 무려 '7만 5천호'..? 10년만에 역대 최대인데 정부는 아직 괜찮다? 미친듯이 급증하는 미분양 물량 전체 거래중 월세 비중이 역대급 앞으로 부동산 전망은? 지난달(1월) 전국 미분양 주택 수가 7만 5천가구를 넘어. 10년만에 최고치 기록 수도권 : 1만 2257호 (10.7% ↑), 지방 : 6만 3102호 (10.6% ↑) → 미분양 주택의 83.7%가 지방에 위치한 셈 85㎡를 넘어서는 중대형 미분양 물량은 25.9% 증가했으며, 그 이하는 8.8% 증가 완공이 되어도 분양이 되지 않아서 일명 '악성 미분양'의 경우 전달보다 0.4% 증가 1월 전국 주택 매매량도 작년 동기 대비 38.2% 감소 수도권 : 1만 299건 (36.5% ↓), 지방 : 1만 5462건 (39.4% ↓) → 특히 서울은 2064건 (45.3% ↓)으로 거래량이 반토막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2. 28.
'금리상한 전세대출' 출시 예정! 앞으로 금리가 더 올라가도 걱정 줄이자! 연이은 시장금리 상승기에도 금리 상승폭을 제한하는 '금리상한형 전세자금대출'에 대해 알아보자! 연간 금리 상승폭을 제한하는 '금리상한형 전세자금대출' 출시 예정! 금리상승기에 전세 세입자의 이자 부담 완화하려는 조치! 전세대출의 92% 이상이 변동금리로 금리상승기에는 전세 세입자의 금리 부담 ↑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한국주택금융공사와 '금리상한형 전세대출' 출시를 위한 논의 진행중 고위 관계자 曰, "실수요가 많은 전세대출에서 소비자 이자 부담을 낮춰 주기 위해 출시를 준비중" 금리상한형 전세대출은 어떤 상품인가? 금리상한형 전세대출은 기존의 금리상한형 주택담보대출(주담대)와 유사한 구조로 설계된다. 이는 최대 금리 상승폭이 연간 0.75%p, 5년간 2%p로 제한. 금리상한형 전세대출의 최대 금리 상승..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2. 20.
서울 개포동 전셋값이 6억까지 떨어졌다..? 폭락하는 서울, 세입자에게 기회가 온다? 서울 아파트 전세지수 0.91% 하락! 고금리에 전세 기피는 점점 심해져.. 서울권 전셋갑 폭락 세입자에게는 기회일까? 고금리로 인해 전세를 기피하면서 입주물량이 급격히 쏟아져.. - 강남권을 중심으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가파르게 폭락하고 있다. 올해 2월 둘째주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0.91%' 하락 (한국부동산원 조사) 한국부동산원 관계자 曰, "신규 입주물량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매물 적체가 가중되고, 지속적인 하락으로 인해 역전세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신축 입주 물량이 많은 서울권의 상황은...? 신축 입주 물량이 많은 강남구(-1.46%), 동작구(-1.56%)의 변동률이 매우 높았다. 강남구는 개포동에 3375가구 규모의 개포 자이 프레지던스가 입주 예정이고, 동작구는 1772가구..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2. 20.
분당/일산에 30층 아파트들이 들어온다고? 신도시 특별법! 어떤 효과가 있을까? 1기 신도시 특별법 적용! 용적률 상향과 안전 진단 폐지된다? 그 효과는? 경기 성남 분당, 고양 일산 등 1기 신도시 특별법 확정! 국회 발의 후 본격적인 입법 절차 예정 →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공개 - '노후 신도시 특별법'은 1기 신도시를 포함한 노후 주거지의 재건축 속도를 높여 양질의 주택 공급을 늘리는데 필요한 제도적 장치 마련하는 것이 목표 - 이를 위해 안전 진단 면제 혹은 완화 및 용적률을 최대 500% 상향 등으로 재건축 관련 규제 대폭 완화 특별법을 적용 받으면? 어떤 효과가 있나? - 우선 특별법은 택지조성사업 완료 후 20년 이상, 100만㎡ 이상의 택지에 적용 → 1기 신도시인 '분당/일산/중동/평촌/산본' 뿐 아니라 서울 개포..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2. 16.
미분양 7만가구 임박.. 정부가 매입한다고? 매매/전셋값 더 내려간다? 미분양 7만가구 임박..! 매매/전셋값 더 내려간다? 깡통전세/역전세 더 많아진다? 정부가 미분양 매입한다? 전국 미분양 아파트 6만 8107가구 집계 (지난 2023년 1월 기준) - 정부가 언급한 미분양 위험선인 '6만 2000가구'를 이미 넘어.. - 주택업계는 정부의 미분양 주택 매입건 요청 ↑ 1년 전(2021년 말~2022년 초)에만 해도 미분양 주택은 1만 7710가구에 불과. - 1년 만에 미분양 주택 규모가 4배 가까이 증가 # 미분양 주택 : 신규 분양주택의 1차 계약일까지 계약이 이뤄지지 않은 주택 의미 지방의 미분양 증가폭은 더 크다. 대구시는 '주택건설사업계획' 전면 보류 선언 지방 미분양은 현재 5만 7072가구로 전월 대비 19.8% 증가. 대구(1만 3445가구가 미분양) -..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2. 6.
요즘 나 빼고 다 월세 산다..? 월세 거래량이 '역대 최고'인 이유는? 100만원 넘는 월세 계약 급증! 금리인상, 깡통전세 우려에 '전세 → 월세' 이동 ↑ 서울에 사는 세입자 3명 중 1명은 100만원이 넘는 월세 거주 -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목돈 마련이 어렵고, 깡통전세로 인한 전세 보증금 미반환 우려 ↑ 작년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량 전체 9만 9379건 중 '3만 6034건(36.2%)'가 100만원 이상 고액 월세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월세 100만원 이상의 아파트 거래량은 2017년부터 꾸준히 상승세 → 더불어 전국 아파트 전월세거래량이 100만건 돌파! 100만원 이상의 월세 거래량, 2만 4015건(2017년) → 3만2668건(2020년) → ...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2022년 전국 아파트 전월세거래량이 무려 105만건 돌파....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2. 6.
광교&서울, '집값 띄우기' 수법으로 시세조작하는 의심사례 급증! 정말인가? 광교 중흥S클래스 송파 헬리오시티 알고보니 명백한 시세조작이였다? 광교 중흥S클래스 역대 최고가 찍은게 명백한 시세조작이다...? - 2021년 8월 광교신도시 내 원천동 중흥S클래스 아파트(전용 84㎡)가 1년 4개월만에 돌연 계약 취소 - 해당 아파트는 2015년 6억원대에 분양되어 10억원 초반(입주 초기) → 18억원 (2021년) - 이 과정에서 의도적인 '집값 띄우기'가 동원된 것이 아니냐는 의심 ↑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명백한 시세조작', '영끌족을 낚은 희대의 사기극' 등의 반응 ↑ 18억원으로 신고했던 거래가 '시세'가 되어 그 후의 거래도 그 '시세'대로 이루어졌다는 말 '집값 띄우기' 의심사례가 전체 취소건의 무려 65%...? -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전용 84㎡) '21년 11..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2. 1.
"전세가율 90%는 이미 넘겼다!"...전세보증금 못 돌려받는다? 깡통전세 위험지역은? 전세가율은 '주택매매가격에 대한 전세가격 비율'을 의미히며, 이 비율이 80%을 넘기면 깡통전세 위험신호! 서울 강서구/양천구/금천구는 전세가율이 90%을 넘겨, '깡통전세' 위험이 높음 경매에 넘어갈 경우, 전세보증금을 전액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 ↑ 작년 2분기 신규 전세계약의 전세가율은 평균 84.5%로 측정 (서울주거포탈, 전/월세 지표) 전체 25개구 중 전세가율이 80%가 넘는 자치구는 21개구에 해당, 서울 시내 연립과 다세대 주택 대부분이 깡통전세 위험 지역인 셈 서울시는 앞으로 분기별 깡통전세가 우려되거나 임차인에게 입장에게 일방적인 불리한 계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전세가율 등을 포함한 '전/월세 시장시표'를 내놓기로 했다. 올해 8월부터 12월까지 서울 시내에서 갱신계약이..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1. 23.
집값이 6억원 넘게 하락해도 집주인은 "호가 못 내려"... 그 이유는? 아파트값 전망은? 정부는 부동산 규제 지역 해제와 청약/대출/세금 규제 대폭 완화한 일명 '1.3 부동산 대책'을 냈지만.. 추가 금리 인상과 실물경제 위축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으로 아파트 매매 시장은 관망세 청약 시장도 입지와 가격에서 경쟁력 있는 곳들만 수요자가 몰리는 양극화 현상 심화 1/11일 서울 아파트 매물은 5만 1347건으로 1.3 대책 발표 이후 3.1% 증가 정책 발표의 최대 수혜지는 '노원, 도봉, 강북구'에서 매물 증가세 ↑.. 하지만.. 도봉구 창동 부동산 관계자 曰, "대책 발표 직후 매수 문의가 늘긴 했지만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급매물이 아니면 쳐다보지도 않는다." "대출이자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어 일부 실수요자와 현금 여력이 있는 사람만 주택 구입에 나서" 노원 상계동 부동산공인 관..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