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내년 부동산 전망6

부동산 경기는 '2024년' 와야 회복한다? 경기 회복을 위한 필수 조건은? 경기 회복을 위한 필수조건은 바로 대출금리 인하? 부동산 업계 종사자 3명 중 1명은 앞으로 2024년이 되어야 부동산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디스코가 발표한 '부동산 현황 및 내년 전망 조사'에 따르면, 업계 종사자 중 35.3%는 부동산 경기회복 시기를 '2024년 중' 으로 답했다. 더불어 부동산 업계는 거래 절벽 및 앞으로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금리'가 핵심! 부동산 경기회복 조건으로 대출금리 인하(81.2%)로 가장 많이 응답 반대로 부동산 시장 비활성화 이유 역시 대출금리인상(91.7%)로 압도적 부동산 침체기가 예상되어 내집마련을 계획한 실수요자들도 주택구입 계획을 미루고 있어.. 주택 매입 계획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향후 가격이 하락할 것 같아서'가 33.0%로..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2. 21.
올해 아파트 매매량이 2006년 이후 최저라고...? … 내년 부동산 전망은? 아파트 전세거래 총액, 2011년 이후 처음으로 매매총액 넘겨 지속되는 금리 인상과 경기둔화 우려 등으로 아파트 매수 심리가 극도로 위축되어 매매량이 역대 최저치 직방,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10월 아파트 매매량은 전국 26만2천건으로, 2006년 이후 처음으로 50만건 밑으로 떨어져 역대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올해 10월까지 수도권은 7만6천건. 수도권은 올해 10만건에도 미치치 못할 것으로 예측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으로 집계된 전국 아파트 매매 총액은 전국 70조 8천억원. 이는 작년(198조 3천억원)보다 100조원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 동일 기간 전국 아파트 전세거래 총액은 177조 4천억원으로 2011년 이후 처음으로 매매총액을 넘겼다 더불어 아파트 매매가 역시 올..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2. 21.
아파트 급매 내놓아도 안 팔려.. 10년 전으로 돌아간 매수 심리 - 부동산원,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67.9.. → 2012년 8월 이후 최저 수치 - 금리 인상에 따라 '급매'도 안 팔려.. 매물은 줄고 전세 내놓아 - 서울 아파트 시장의 매수심리가 10년 전(2012년) 주택시장 침체기 수준으로 급락 → 집이 안 팔리자 집주인들은 다시 임대로 돌리면서 서울 아파트 전/월세가 총 8만건 돌파 → 서울 아파트 매매 수급지수는 67.9로 지난주(69.2)보다 더 떨어져 2012년 8월 이후, 10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 기록 →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낮을수록 시장에서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 - 11/24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면서 속도조절에 들어간 모습이지만, 추가 금리 인상의 가능성이 남아 있어 당..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1. 28.
4분기 서울 아파트 과반 하락 거래...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 앞으로 부동산 전망은? - 올해 4분기에 서울 아파트 2채 중 1채는 하락 거래된 것으로 나타나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비중이며, 실거래 신고제 도입 이후 하락 거래가 절반을 넘긴 것은 처음 → 직방 아파트 매매자료 전수 조사 결과, 올해 4분기 직전 대비 5% 이상 거래가격 하락한 서울 아파트의 비율은 51.6%로 집계 - 20~30대의 매수세가 강했던 수도권, 대전, 세종, 대구에서도 하락 거래의 비율이 높다 → 청년층은 주택 매수 시 상대적으로 자기자산보다 재출 비중이 높아, 최근 급격한 금리 인상의 영향 ↑ -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 曰, "올 하반기 들어 거래절벽 속에서 급매가 아니면 매매되지 않는 하락 거래 중심의 시장 형성" "고가 아파트에 대한 대출 규제를 푸는 등의 정부 정책에도 불구하고, 매..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1. 24.
건설사, "내년이 더 어렵다" 무려 9만 가구 분양 미뤄... 부동산 경기 전망은? - 올해보다 내년 주택시장이 더 어려울 것으로 전망 → 건설사들은 "밀어내기" 계획.. - 12월 분양 물량까지 더하면 연말에 9만 가구로 물량 쏟아져... 왜? - 부동산 정보업체인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 기준 분양 예정인 아파트는 총 6만 1312가구.. → 2015년 이후 동월 대비 가장 많은 물량. 작년(2021) 11월 3만 가구에 비해 2배 이상 → 12월 분양 물량인 2만 7364가구를 더하면 대략 9만 가구에 이르는 물량이 연말에 쏟아지는.. → 임병철 부동산R114 리서치팀 팀장 曰, "부동산 경기 침체로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미루던 것이 누적되어 연말에 집중되는 것" - 신규 분양이 공급될 예정임에도 부동산 경기 침체로 청약시장 분위기는 좋지 않은 상황 → 부동산R114에 따..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1. 5.
역전세란에 이어 이젠 '역월세 시대'... 내 보증금은 받을 수 있을까? - 지속적으로 전셋값은 떨어지고 집주인은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 보증금을 돌려줄 여력이 없는 집주인은 많이 위급한 상황... - 금리 추가 인상으로 인해 대출이자 부담 ↑, 영끌족은 어떻게 되나? → '전세의 월세화' 현상 가속화 전망. 세종, 대구, 인천은 이미 시작.. 어디까지 퍼지나 1.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월세를 받는 시대, 역월세 시작 - 세종시 소담동 전용 84㎡ 아파트 전세시세가 1억원 정도 떨어졌지만, 보증금 마련할 방법이 없는 집주인 → 소액의 현금 일시반환하고, 전세대출 금리(5%선) 적용해서 매달 돈 지급, 일명 역월세 합의 → 다주택자 대출에 규제 적용으로 대출을 이용한 전세 퇴거가 어려워져.. → 전셋값이 급락하면서 오히려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월세'를 내는 기이한 ..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0.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