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올해 부동산 전망8

대출금리가 추가 하락한다! 언제부터 얼마나 떨어질까? 부동산 최근 동향 정리! 주담대 변동금리가 추가 하락했다? 앞으로 더욱 하락할 전망인 대출금리 부동산 최근 동향 확인해보자! 미국 실리콘밸리 뱅크(SVB) 파산 사태의 여파로 국내 은행의 대출금리 하락 전망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긴축 기조 완화와 국내 한국은행의 동결 가능성 ↑ 은행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자금조달지수(=코픽스, COFIX)와 채권금리는 이미 하락세 → 올해 2월 신규 코픽스는 전월 대비 0.29%p 하락한 3.53% 기록 # 코픽스(COFIX) : 국내 8개의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 -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변동이 반영된다. - 코픽스가 떨어지면 그만큼 은행은 적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은행이 대출을 내줄 때 더 낮은 금리를 매길 ..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3. 23.
주담대 대출 갈아탈려고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이제 얼마 안 남았다고? 특례보금자리론 신청건 중 58%가 '기존대출 상환', 그 외는 신규주택 매입!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1주일만에 신청액수가 10조원을 넘겨 - 대출의 약 60%는 기존 대출 갈아타기 용도 1/30일 처음 출시한 뒤 2/7일까지 총 10조 5008억원 공급 - 7일(영업일 기준)만에 전체 기금인 39조 6000억원의 26.5%가 소진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 曰, "지난해 하반기에 선보인 3차 안심전환대출이 2달동안 10조원이 집행된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으로 빠른 속도" 용도별 신청 현황은 어떻게 되나? - 기존 대출 상환 : 58.4% (6조 1345억원) - 신규주택 구입 : 33.4% (3조 5010억원) - 임차보증금 상환 : 8.2% (8653억원) → 신규 주택 구입보다는 대출.. Economy & Stock/경제 뉴스 핵심정리 2023. 2. 11.
미분양 7만가구 임박.. 정부가 매입한다고? 매매/전셋값 더 내려간다? 미분양 7만가구 임박..! 매매/전셋값 더 내려간다? 깡통전세/역전세 더 많아진다? 정부가 미분양 매입한다? 전국 미분양 아파트 6만 8107가구 집계 (지난 2023년 1월 기준) - 정부가 언급한 미분양 위험선인 '6만 2000가구'를 이미 넘어.. - 주택업계는 정부의 미분양 주택 매입건 요청 ↑ 1년 전(2021년 말~2022년 초)에만 해도 미분양 주택은 1만 7710가구에 불과. - 1년 만에 미분양 주택 규모가 4배 가까이 증가 # 미분양 주택 : 신규 분양주택의 1차 계약일까지 계약이 이뤄지지 않은 주택 의미 지방의 미분양 증가폭은 더 크다. 대구시는 '주택건설사업계획' 전면 보류 선언 지방 미분양은 현재 5만 7072가구로 전월 대비 19.8% 증가. 대구(1만 3445가구가 미분양) -..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2. 6.
미분양 주택을 정부가 매입한다고? 무려 27조원을 들여서? - 올해 집값 전망은? 부동산 시장 하락세와 주택 미분양이 심각해져 尹 정부는 미분양 주택 정부 매입 검토 지시 → 정부는 미분양 주택을 매입할 기금은 있지만, 전체 기금 중 높은 비중을 쏟아부어야... →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여 소비자들도 매매하지 않은 '악성 재고'를 혈세로 처리한다?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하여 미분양 주택 물량을 전부 소화하는 것은 수치상 가능 2021년 말 기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주택도시기금 잔액은 47조 3770억원 분양가 시세를 반영하여 전국 미분양 주택 가치는 27조 3120억원 추산 '주택도시기금'이란 국토교통부가 건설임대주택 매입 재원으로 사용하는 기금으로써, 정부의 미분양 주택 매입을 실행하면 이 기금이 쓰일 것이 유력 국토교통부 2023년 업무보고에서 윤 대통령 曰, "공공기관이 미..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1. 14.
올해에 집 사는게 맞을까? '5억까지 4% 대출' 특례보금자리론 발표 임박! 특례보금자리론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 올해 1분기 중으로 출시! → 대출 규제 완화로 다주택자도 주담대 가능! 본인의 소득상관없이 집값이 9억원 이하일 경우, 5억원까지 4%대의 대출을 받을 수 있다! 특례보금자리론으로 주택 매매, 생활 안정 자금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 이는 금융당국이 올해 1분기 출시를 목표로 준비중이며, 일반형 안심전환대출과 적격대출을 통합한 상품 주택가격요건은 시세 6억원 → 9억원 이하로 확대 기존 7000만원이었던 소득요건 부부합산소득을 없애고 대출한도를 최대 3억 6000만원 → 5억원 확대 대출금리는 기존 보금자리론에 기반한 단일 금리체계 적용 예정 신규 주택구매자, 변동금리 주담대를 고정금리를 갈아탈려는 차주, 임차보증금 반환 목적의 주담대 모두 가능 특례보금자리론은 ..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1. 4.
전매제한 10년 → 3년 축소, 분양가상한제 실거주 의무 폐지! 청약되면 포기할 필요 없다! 부동산 전매제한 최대 10년 → 3년 축소 분양 후 실거주 의무도 폐지 추진 분양가 12억 초과되는 주택도 중도금 대출 가능! 최근 미분양 주택이 늘고 PF 시장 전반적으로 위기.. 이를 막기 위해 정부측 방안은? 전매 제한 축소와 실거주 의무를 적용받는 주택에 대해서도 규제 완화 소급 적용 ex) 이에따라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의 '전매제한은 기존 8년 → 1년' 더불어 분양받은 주택을 최대 10년간 팔 수 없었던 전매제한을 최대 3년으로 줄이고 분양가 상한제 주택의 실거주 의무 폐지하도록 강남3구와 용산구 등 규제지역의 전매제한은 3년, 그 외 서울과 경기권은 전매제한 1년 적용 당장 수혜 입을 단지는 지난달 분양 시작한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 주택 보유 기간이 길고, 고분양가..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1. 4.
영끌족 비명.. "월급의 54%가 대출이자..?" 올해 집값은 어떻게 되나요? "원리금 부담이 갈수록 커져.. 매달 월급의 60% 이상이 대출 상환에 쓰인다. 생활 각박하다.." 2~3년 전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등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집 마련한 이들의 생활수준이 더 각박.. 서울에서 대출을 끼고 중위가격대의 집을 마련한 사람들은 매월 가구소득의 54%가량을 주담대 원리금 상환 이는 작년부터 가파른 금리 상승으로 인해 집값이 하락했음에도 대출이자가 너무 오른 탓 → 주택구입부담 사상 최고치. 집 마련할 실수요자들의 부담 심화 한국주택금융공사, 작년 9월 말의 전국 주택구입부담지수가 '89.3'을 시작으로 갈수록 최고치 기록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14.6', 세종(134.6), 경기(120.5) ...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간소득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주..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1. 3.
서울/수도권 부동산 규제 다 푼다고? … 올해 부동산 전망은? 서울/수도권 지역 대규모 부동산 규제 해제 → 부동산 규제 해제는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 제외한 모든 지역 해당 →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 대폭 축소 정부는 최근 미분양 급증을 더불어 부동산 시장 위기 확산을 막기 위해 규제지역을 대거 해제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규제지역에서 풀릴 전망 국토부는 작년 경기/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규제지역 해제를 시작해 현재 서울 전체와 과천, 성남(분당/수정구), 하남, 광명시 등이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로 남아있었다. '조정대상지역'이 해제되면 종합부동산세(종부세)와 양도소득세 중과가 배제되고 주택담보대출비율(LTV) 확대 이로써 청약 신청 후 재당첨 제한도 풀리게 된다. 이처럼 서울도 규제 해제지역에 포함시킨 것은 최근 집값 하락세와 미분양..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