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결혼 돈관리6

부모님 용돈, 지인들 경조사 어디까지 챙겨야 할까? 부모님 용돈부터 지인들 경조사.. 어디까지 챙기는게 맞을까? 두 사람이 결혼한다는 것은 두 집안의 결합이므로 경조사가 몇 배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 → 물론 경조사에는 정답은 없다. 제사를 지내는 집과 그렇지 않은 집까지 등 → 하지만, 나름의 기준을 세워보자 1. 경조사 챙길까? 종잣돈 모을까? 나의 앞가림부터 할 줄 알아야 한다. 부모님께 효도하는 것, 친인척들 집안 행사 챙기기 그리고 지인들에게 선물이나 경조사 챙기는 것도 좋지만 꼭 기억해야 될 것은 "부부 소득이 한정적"이라는 것. → 경조사를 다 챙긴다고 하면 엄청 많다. 양가 용돈, 부모님 생신, 명절, 친척모임, 제사, 결혼식, 장례식 등 → 1년 단위로 보면 꽤나 돈이 많이 나간다. 그래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즉, 우선순위를 세우는 .. Economy & Stock/신혼부부 재테크 2024. 1. 14.
배우자가 경제권을 넘기지 않는 진짜 이유. 누가 경제권을 가져야 할까? 돈 관리를 함께 하고 있다면, 배우자가 경제권을 넘기지 않으려는 이유는 뭘까? 그렇다면 누가 경제권을 가져야 할까? 1. 경제권은 권력이다? 결혼 이후에 자주 일어나는 트러블 중, "경제권은 누가 가져야 할까?"이다. 서로 소득을 오픈해서 함께 관리하자고 합의를 했다면, 누가 '주도적으로 경제권을 갖을 것인가?'가 다음 과제이다. → 다만, 여기서 경제권을 갖는 것이 가정 내 권력은 아닌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가정 내 경제권이란, 가정에서 돈관리를 하는 사람의 책임감이다. 책임감이 밑받침되어야만 이상적으로 가정이 굴러갈꺼고, 할 일과 챙겨야 할 것들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가계부 작성, 통장 합치거나 쪼개거나, 배우자를 잘 설득도 해야되지.. 등 그래서 경제권은 부부 간 힘겨루기가 아닌 책임감있게 할 .. Economy & Stock/신혼부부 재테크 2024. 1. 14.
결혼 후 '돈 관리 같이' vs '각자 관리' 팩트로 간단 정리 결혼 후 돈 관리 같이 vs 각자 관리 장단점과 일어나는 일들은? 1. 돈 관리를 왜 각자하자고 할까? 결혼을 하면 가장 처음 맞닥뜨리는 문제는 바로 '돈 관리 각자 할까? 같이 할까?'. 바로 이 문제다. 이 질문에 대해서는 정답이 존재하지 않지만, 경제적인 측면으로만 보면 같이 관리하는 것이 훨씬 속도가 빠르다고 한다. 이 점은 돈관리를 각자 하는 이유를 짚어보면 유추할 수 있다고 하는데.. 1) 빚이 있을 때 : 배우자에게 오픈하기 미안하거나 본인이 못나 보일 수도 있을거란 생각 혹은 자존심의 문제 어떤 경우는 가족의 명의로 끼어있는 자산이 있는 경우에 해당... 어쩌면 혼자 해결하고 싶은 무언가가 있을 경우 2) 자유롭게 쓰고 싶어서 : 결혼한 이후에도 각자의 월급은 각자 자유롭게 쓰고 싶은 마음.. Economy & Stock/신혼부부 재테크 2024. 1. 14.
흙수저 부부가 가장 빨리 부자되는 3가지 원리는? 흙수저 부부가 가장 빨리 부자가 되는 3가지 원리는? # Intro - 내가 이룰 수 있을까? 우리 부부의 경제적인 현상태(소득/지출 등)을 알고 앞으로의 목표와 미래를 그려봤다면, 그 미래와 현재와의 차이(갭)을 어떻게 빠르게 줄이고 채워나갈지가 관건이다. → 우리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 체크는 이전 게시물 참고(자산/소득/지출) # 우리 부부의 자산/소득/지출 분석하기 (이전 게시물) 2024.01.14 - [Economy & Stock/신혼부부 재테크] -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 점수는? 자산/소득/지출 분석하기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 점수는? 자산/소득/지출 분석하기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 점수는? '자산/소득/지출'을 통한 현위치는? 1.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는 왜 중요할까? 목적지는 아는데 .. Economy & Stock/신혼부부 재테크 2024. 1. 14.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 점수는? 자산/소득/지출 분석하기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 점수는? '자산/소득/지출'을 통한 현위치는? 1.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는 왜 중요할까? 목적지는 아는데 현재 출발지를 모르면 얼마나 가야 하는지 가늠이 가지 않는다. 계획을 세울 수가 없다. → 단순히 이 정도면 적당히/많이 버는 거겠지 등의 주관적인 생각을 버리자 → 연간 얼마의 소득이 내 계좌에 들어오는데, 본인이 어디에 돈을 쓰고 있고 얼마를 모을 수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점검하는 단계 신한은행에서 발간한 '보통사랑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 가구의 자산은 '5억 1,782만원'. 미혼과 기혼을 포함한 월평균 가구 총소득은 '21년 기준 493만원이고, 이 중 약 49.1%를 생활비로 쓰고 있고 9.1%는 대출을 갚는데 나간다. 대략 60%는 생활비에 대출이자.. Economy & Stock/신혼부부 재테크 2024. 1. 14.
결혼하고 신혼부부가 된 후에 가장 처음 해야 하는 4가지 결혼하고 부부가 된 후에 가장 처음 해야 하는 4가지 ★ 경제 가치관 조율하기 ★ 부부가 되고나서 가장 처음 해야할 것은 경제 가치관을 조율하는 것이다. 서로 사랑하는 것과 경제관이 잘 맞다는 것은 엄연히 다른 이야기다. 연애와 다르게 결혼을 하면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경제적인 것들을 공유하는 사이가 된다. 장 보기, 생필품, 내집마련 등등.. → 하지만, 문제는 본인이 원하는 삶과 배우자가 원하는 삶이 다를 수 있다는 것!! → 그래서 재테크를 시작할 때 먼저 서로의 경제 가치관에 대해 공유하는 것이 중요!! 1. 삶에서 가장 필요한 가치관은? 사람마다 살아온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관이 다르다. ex) 경제적인 능력?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자유로움? 그 가치관의 비중은 모두 .. Economy & Stock/신혼부부 재테크 2024. 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