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부동산 침체6

집값이 6억원 넘게 하락해도 집주인은 "호가 못 내려"... 그 이유는? 아파트값 전망은? 정부는 부동산 규제 지역 해제와 청약/대출/세금 규제 대폭 완화한 일명 '1.3 부동산 대책'을 냈지만.. 추가 금리 인상과 실물경제 위축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으로 아파트 매매 시장은 관망세 청약 시장도 입지와 가격에서 경쟁력 있는 곳들만 수요자가 몰리는 양극화 현상 심화 1/11일 서울 아파트 매물은 5만 1347건으로 1.3 대책 발표 이후 3.1% 증가 정책 발표의 최대 수혜지는 '노원, 도봉, 강북구'에서 매물 증가세 ↑.. 하지만.. 도봉구 창동 부동산 관계자 曰, "대책 발표 직후 매수 문의가 늘긴 했지만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급매물이 아니면 쳐다보지도 않는다." "대출이자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어 일부 실수요자와 현금 여력이 있는 사람만 주택 구입에 나서" 노원 상계동 부동산공인 관..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3. 1. 14.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확대, 종부세 감면 등 감세의 목적과 결말은? 최근 국회를 통과한 세법개정안으로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확대, 법인세/종합부동산세 감면 등의 감세' → 국가 세수(세금으로 인한 정부 수입) 확보 우려? → 종합적으로 반도체/법인세/종부세 감면만으로 내년부터 세수 2% 감소 대표적인 감세 항목은 역시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학대" 윤석열 대통령의 재검토 지시로, 대기업/중견기업은 15%, 중소기업은 25% 상향 반도체 업계측은 좋은 소식이지만, 내년 감소하는 세수만 무려 3조 6500억원 → 2026년까지 매년 세수가 1조 3700억원씩 줄어들 전망 더불어 법인세/종부세 감면도 큰 요인 법인세 최고세율을 1%p 인하 → 내년부터 매년 3조 3000억원씩 줄어든다 종부세는 다주택자 중과 폐지 등의 대책으로 내년부터 매년 1조 3000억원씩 감소 이로써 .. Economy & Stock/경제 뉴스 핵심정리 2023. 1. 14.
4분기 서울 아파트 과반 하락 거래...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 앞으로 부동산 전망은? - 올해 4분기에 서울 아파트 2채 중 1채는 하락 거래된 것으로 나타나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비중이며, 실거래 신고제 도입 이후 하락 거래가 절반을 넘긴 것은 처음 → 직방 아파트 매매자료 전수 조사 결과, 올해 4분기 직전 대비 5% 이상 거래가격 하락한 서울 아파트의 비율은 51.6%로 집계 - 20~30대의 매수세가 강했던 수도권, 대전, 세종, 대구에서도 하락 거래의 비율이 높다 → 청년층은 주택 매수 시 상대적으로 자기자산보다 재출 비중이 높아, 최근 급격한 금리 인상의 영향 ↑ -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 曰, "올 하반기 들어 거래절벽 속에서 급매가 아니면 매매되지 않는 하락 거래 중심의 시장 형성" "고가 아파트에 대한 대출 규제를 푸는 등의 정부 정책에도 불구하고, 매..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1. 24.
이젠 '로또 청약'도 하지 않는 상황. 당첨되도 포기하는 실정... 왜? - 올해 10월까지만 해도 '무순위 청약', 7265가구 - 의왕 내손동 '인덕원자이 SK뷰' 무순위 508가구 중, 6명만 청약 → 금리는 치솟고 시세차익에 대한 기대도 없어... - 한때 일명 '로또 줍줍'으로 관심을 끌었던 무순위 청약조차 외면 받는 실정 → 청약 후 본계약을 포기해, '줍줍(무순위 청약)' 물량도 갈수록 큰 폭으로 증가 - 10/26일 한국부동산원 기준, 올해 수도권 무순위 청약 아파트 가구수는 7265가구 → 전년(2028가구) 대비 3.58배에 해당하는 물량. 전국 단위로 보면 전년 대비 66% 증가 - 9월에 분양한 경기 의왕시 '인덕원자이 SK뷰'는 일반분양 899가구 중 508가구가 계약 포기 → 무순위 청약(줍줍)으로 나와도 단 6가구만 신청해서 502가구 잔여 물량만 ..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0. 30.
국내 4대 금융지주, 3분기 누적 이익 사상 최대!! ... 무려 14조원? - 국내 4대 금융지주(KB, 신한, 하나, 우리금융) 순이익이 3분기 누적 14조원..? → 기준금리 인상으로 순이자마진 상승세가 큰 영향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대 마진(예금-대출 금리 차이)가 커져 이자 장사가 호황 → 국내 주요 금융사들의 이자 수익으로 올해 3분기 누적 이익이 사상 최대 갱신! → 지난해 8월 이후, 총 8차례에 걸쳐 금리 인상으로 연 0.5% → 3%까지 올라 → 금리 상승기에 인상 속도는 대출금리보다 예금금리 인상속도가 더디기에 마진이 커진다. - KB금융(1등), 3분기 누적 순이익은 4조 279억원 - 신한금융(4조 3천 154억원), 하나(2조 8천 494억원), 우리금융(2조 6천 617억원) → 모두 역대 최대 기록 갱신 - 최근 레고랜드 사태에서 이어진 .. Economy & Stock/경제 뉴스 핵심정리 2022. 10. 30.
중국, 부동산 경기 부양에 '풀베팅' … 집값 하락세 방어에 총력을 다해 - 中, 부동산 신규 매입 및 기존 주택 매각 때 소득세 환급 - 모기지 금리 인하 - 중국 전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30%에 달하는 부동산 산업의 침체가 이어지면서 중국 경제 회복이 불가능하다? → 최근까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중국 내 소비 부진, 세계적인 인플레이 션 및 각국의 금리 인상으로 중국 수출도 감소하는 상황에서 부동산 시장에 대한 위기감은 커지고 있는 상황 - 작년 부동산 투기 단속으로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가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황 닥쳐 →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유동성 위기로 이어져 개발 프로젝트 중단 → 아파트 분양자들의 모기지 상환 거부와 중국 전역의 부동산 시장 위기로 확산 → 이 때문에, 중국은 금리 인하, 부..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