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앞자리가 바뀌었다..? … 수도권 8억 붕괴, 지방광역시 4억→3억
- 전국 아파트의 매매 중위값(median)이 5억원을 밑돌아..
- 전국 주택 매매량 작년 동기 대비 47.4% 하락. 매수심리 더 추락


- 금리 인상과 경제침체에 대한 우려로 전국의 주택 매매시장 거래량은 많이 얼어붙은 상황
→ KB국민은행의 월간 시계열 통계 자료 기존,
지방 5개 광역(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이달 4억을 밑돌고, 지난달 대비 176만원
떨어졌다.
→ 수도권의 평균 아파트값은 지난 6월(8억 1055만원) 이후, 3개월째 하락세이며 이달 8억 175만원 기록
- 작년 하반기부터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금리 인상이 본격화됨에 따라 아파트값 상승폭이 꺾이고 하락세는 가속
→ 한국부동산원이 지난 23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보면, 9월 3째주 기준 전국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19% 하락
→ 서울과 수도권의 경우, 전주보다 0.17~0.23% 하락했으며, 이는 2012년 12월 2째주 이후 최대 하락폭
- 전국의 주택 매매량도 연달아 급감중 ... 작년 동기 대비 47.4% 급감
→ 8월 한달 거래만 보면 전국 주택 매매량은 3만 5531건으로, 지난해 대비 60.1% 감소
→ 수도권(1만 3883건)은 전년 동월 대비 66.7% 감소, 지방(2만 1648건)은 54.3% 감소
- 더불어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4.8 (한국부동산원 산출)로, 지난주보다 더 하락해 2019년 10월 이후
약 3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
→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팔려는 사람이 사려는 사람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
→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8.5" 를 기록하며 지난 21주 연속 하락중이며, 3년 3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
→ 정부는 세종을 제외한 지방 전체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를 하여도, 매수심리는 오히려 더 위축
→ 추가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로 집값 하락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
From, 매일경제 ('22.10.03)
'Economy & Stock > 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PF 대출 10조 늘린 새마을금고 … 부실위험 커지나? (0) | 2022.10.11 |
---|---|
집값 급락 … '제2금융권 위기' 직전. 주담대 원금 손실 우려 (0) | 2022.10.06 |
중국, 부동산 경기 부양에 '풀베팅' … 집값 하락세 방어에 총력을 다해 (0) | 2022.10.05 |
피해자만 50명? 320억? 부동산 사기 대비하자 (깡통전세 확인법!) (0) | 2022.09.27 |
부동산시장 ‘빙하기’ … 영끌족 투매 현실화하나? (1)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