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동산 급매3 아파트 급매 내놓아도 안 팔려.. 10년 전으로 돌아간 매수 심리 - 부동산원,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67.9.. → 2012년 8월 이후 최저 수치 - 금리 인상에 따라 '급매'도 안 팔려.. 매물은 줄고 전세 내놓아 - 서울 아파트 시장의 매수심리가 10년 전(2012년) 주택시장 침체기 수준으로 급락 → 집이 안 팔리자 집주인들은 다시 임대로 돌리면서 서울 아파트 전/월세가 총 8만건 돌파 → 서울 아파트 매매 수급지수는 67.9로 지난주(69.2)보다 더 떨어져 2012년 8월 이후, 10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 기록 →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낮을수록 시장에서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 - 11/24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면서 속도조절에 들어간 모습이지만, 추가 금리 인상의 가능성이 남아 있어 당..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1. 28. 더보기 ›› 4분기 서울 아파트 과반 하락 거래...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 앞으로 부동산 전망은? - 올해 4분기에 서울 아파트 2채 중 1채는 하락 거래된 것으로 나타나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비중이며, 실거래 신고제 도입 이후 하락 거래가 절반을 넘긴 것은 처음 → 직방 아파트 매매자료 전수 조사 결과, 올해 4분기 직전 대비 5% 이상 거래가격 하락한 서울 아파트의 비율은 51.6%로 집계 - 20~30대의 매수세가 강했던 수도권, 대전, 세종, 대구에서도 하락 거래의 비율이 높다 → 청년층은 주택 매수 시 상대적으로 자기자산보다 재출 비중이 높아, 최근 급격한 금리 인상의 영향 ↑ -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 曰, "올 하반기 들어 거래절벽 속에서 급매가 아니면 매매되지 않는 하락 거래 중심의 시장 형성" "고가 아파트에 대한 대출 규제를 푸는 등의 정부 정책에도 불구하고, 매..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1. 24. 더보기 ›› 집값 앞자리가 바뀌었다..? … 수도권 8억 붕괴, 지방광역시 4억→3억 - 전국 아파트의 매매 중위값(median)이 5억원을 밑돌아.. - 전국 주택 매매량 작년 동기 대비 47.4% 하락. 매수심리 더 추락 - 금리 인상과 경제침체에 대한 우려로 전국의 주택 매매시장 거래량은 많이 얼어붙은 상황 → KB국민은행의 월간 시계열 통계 자료 기존, 지방 5개 광역(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이달 4억을 밑돌고, 지난달 대비 176만원 떨어졌다. → 수도권의 평균 아파트값은 지난 6월(8억 1055만원) 이후, 3개월째 하락세이며 이달 8억 175만원 기록 - 작년 하반기부터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금리 인상이 본격화됨에 따라 아파트값 상승폭이 꺾이고 하락세는 가속 → 한국부동산원이 지난 23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보면, 9월 3째주 기준 전국.. Economy & Stock/부동산 이슈 핵심정리 2022. 10. 5.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