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수저 부부가 가장 빨리 부자되는 3가지 원리는?
728x90
반응형
흙수저 부부가 가장 빨리 부자가 되는 3가지 원리는?
# Intro - 내가 이룰 수 있을까?
우리 부부의 경제적인 현상태(소득/지출 등)을 알고 앞으로의 목표와 미래를 그려봤다면, 그 미래와 현재와의 차이(갭)을 어떻게 빠르게 줄이고 채워나갈지가 관건이다.
→ 우리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 체크는 이전 게시물 참고(자산/소득/지출)
# 우리 부부의 자산/소득/지출 분석하기 (이전 게시물)
2024.01.14 - [Economy & Stock/신혼부부 재테크] -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 점수는? 자산/소득/지출 분석하기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 점수는? 자산/소득/지출 분석하기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 점수는? '자산/소득/지출'을 통한 현위치는? 1.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는 왜 중요할까? 목적지는 아는데 현재 출발지를 모르면 얼마나 가야 하는지 가늠이 가지 않는다.
derrick.tistory.com
처음에는 막연하게만 느껴질 수 있다. '내가 어떻게 이걸 이루지?', '될 수 있을까?' 등 생각이 들거나 자기확신이 쉽게 들 수 없을 수도 있다. 그래서 이제부터 현재와 그 목표와의 갭을 빠르게 메꿀 수 있는, 즉 목표에 빨리 도달할 수 있는 3가지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1. 목표를 세웠으면 그 다음은?
목표를 세워도 누군가는 조기 달성하고, 다른 누군가는 크게 변화가 없는 이유는 아래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다.
1) 미래의 가능성을 현재 소득 기준으로 제한을 둔다
2) 반드시 될 거라는 자기 확신이 없다.
3) 간절함이 없다.
누군가가 신혼 초에 월 600만원대의 소득으로 시작해서 5~6년만에 순자산만 15억 넘게 달성하고, 월소득이 3천만원을 넘겼다고 한다면, "그게 상식적으로 말이 되냐?", "아무리 아껴도 한달에 400씩 모으고, 1년에 5천이 안되는데 그럼 6년에 3억인데.."
→ 당연한 얘기지만, 현재의 소득에 맞춰서 미래를 그리면 답은 안 나온다.
→ 하지만, 어떤 일과 생활을 하든 지금 나의 월급이 평생 200~300만원을 그대로 둘 것인가?
어느 날, 갑자기 로또가 되는 요행이 찾아오지 않는 한..
제가 목표하는 삶을 부리기 위한 나의 월급수준을 맞추기 위해서 스스로 레벨 업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의미
→ 어떠한 방식으로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 아.. 내가 월급의 대략 60%는 저축을 해야되겠네. 내가 재테크 강의를 들어봐야겠다. 이런저런 공부를 해야겠다. 등
이런저런 절약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스스로 몸값을 올리는 것도 중요!
자기계발을 통해서 스스로 몸값을 올리는 것도 물론 중요하다. 연봉과 상여금, 부수입, 인센티브 등등
1억 정도를 모으면, 그 돈을 가만히 방치하지 않고 투자 포트폴리오를 시작
배당금, 투자 수익도 노릴 수 있고, 시드가 커지면 투자 기회도 많이 오게 된다.
내집마련을 위해 임장을 다니기 시작하고, 점차 다음 1억을 모으는 시간이 단축되기 시작한다.
→ 소위 말하는 시드가 커지면 커질수록 가속도가 붙는다.
→ 따라서 어떤 상황이든 나의 환경, 소득으로 나를 스스로 가두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반응형
2. 스스로 반드시 될 거라는 확신을 가지자
생각하는 방향을 바꿔보자 ★★ ★
부부의 연봉이 합쳐서 8천만원이다.
그 중에 우리가 1년에 3천밖에 못 모으는데, 10년으로 계산 때리면 3억이 전부야. → 이게 아니라
우리는 일단 최소 50%는 모아야 돼.
→ 그럼 앞으로 어떻게 해야될까? 천만원은 더 모아야 되는데 뭘 줄일까? 어떻게 더 벌지?
→ 내 몸값은 어떻게 더 올리지? 투자할 만한게 뭐 없을까? 어떤 공부를 해야될까?
→ 목표를 세운 다음에 여기서부터 시작해야 된다.
돈 모으는게 왜 힘들까?
내가 지금 이렇게 열심히 해도 잘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일지 모른다.
→ 그 보장과 확신은 내가 아는 만큼, 공부한 만큼 생긴다.
→ 내가 아는게 없고 안해봤다고 현재에 그대로 머물수록 두려움이 커진다.
3. 나는 얼마나 간절한가
내가 게으른 것은 아니지만 굳이 부지런할 이유가 없기에 간절하지 않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변화보다는 현재를 안주하고 안정적이고 싶어한다.
→ 그런데 어느 누군가는 굉장히 부지런히 부를 늘려가고 있다? 그럼 나는 왜 그렇지 않은가?
→ 내가 게으르지 않다면, 굳이 부지런해야 할 이유이자 동기부여가 없기 때문이다. 지금도 살만하니깐.
내가 그렇게 부자까지는 아니지만, 따박따박 월급으로 외식도 하고 쇼핑도 종종 하고 아이 학원도 보내고 취미생활도 좀 하고, 그럭저럭 살만해서 그렇게 풍족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어려움은 없다면? 더 그럴 수 있다.
→ 그럼 굳이 고생해서 하고 싶지 않은거지
→ 차라리 엄청 가난하면 이 상황을 탈피하기 위해 발버둥이라도 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내가 움직이는 동력을 스스로 가질 수 밖에 없다.
나에게 꿈이 있다면 가만히 있을 수가 없다. 퇴근하고 계속 무언가를 해야겠지.
→ 그만큼 나의 삶을 바꾸고 싶다는 간절함이 크기 때문
꼭 열심히 부지런히 사는 것이 정답은 아니다.
하지만, 본인이 재테크를 하고 부를 축적하고자 한다면 최소한 내가 왜 경제적 자유를 이뤄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 스스로 명확히 답할 수 있어야 한다.
→ 이게 스스로 부지런해야 할 이유이고, 곧 자기확신으로 이어지게 된다.
단순히 절약하고 저축하고 어디에 투자하는 방법을 생각하기 전에 근본적으로 본인 스스로 부지런해야 하는 이유를 계속 묻고 찾아가야 한다.
→ 우리는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강력한 동기부여, 자기 확신 그리고 간절함, 이 3가지가 꼭 있어야 한다.
참고 강의 : 따라하면 누구나 억대 자산! 신혼부부 10억 달성 로드맵 (클래스유, 구채희)
'Economy & Stock > 신혼부부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우자가 경제권을 넘기지 않는 진짜 이유. 누가 경제권을 가져야 할까? (0) | 2024.01.14 |
---|---|
결혼 후 '돈 관리 같이' vs '각자 관리' 팩트로 간단 정리 (0) | 2024.01.14 |
10억 달성을 위한 인생 로드맵과 버킷리스트 그리는 법 (4) | 2024.01.14 |
부부의 경제적 메타인지 점수는? 자산/소득/지출 분석하기 (1) | 2024.01.14 |
결혼하고 신혼부부가 된 후에 가장 처음 해야 하는 4가지 (4) | 2024.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