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가 경제권을 넘기지 않는 진짜 이유. 누가 경제권을 가져야 할까?
728x90
반응형
돈 관리를 함께 하고 있다면,
배우자가 경제권을 넘기지 않으려는 이유는 뭘까?
그렇다면 누가 경제권을 가져야 할까?

1. 경제권은 권력이다?
결혼 이후에 자주 일어나는 트러블 중, "경제권은 누가 가져야 할까?"이다.
서로 소득을 오픈해서 함께 관리하자고 합의를 했다면, 누가 '주도적으로 경제권을 갖을 것인가?'가 다음 과제이다.
→ 다만, 여기서 경제권을 갖는 것이 가정 내 권력은 아닌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가정 내 경제권이란, 가정에서 돈관리를 하는 사람의 책임감이다.
책임감이 밑받침되어야만 이상적으로 가정이 굴러갈꺼고, 할 일과 챙겨야 할 것들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가계부 작성, 통장 합치거나 쪼개거나, 배우자를 잘 설득도 해야되지.. 등
그래서 경제권은 부부 간 힘겨루기가 아닌 책임감있게 할 확신이 있는 사람이 해야 한다.
사회에 누군가는 경제권은 꼭 여자가 가져야 한다. 처음부터 남자가 관리해야 한다. 등의 주변에서 ~카더라 하는 이야기보따리만 믿고 우리 가정에 적용하면 갈등만 야기될 수 밖에 없다.
2. 경제와 돈에 더 밝은 사람이 맡는 것이 맞다.
당연한 말이지만, 경제권은 경제와 돈에 더 밝은 사람이 맡는 것이 이상적이다.
씀씀이가 터무니 없거나 경제에 대해 무지한 이가 가정 내 돈관리를 주도권으로 하게 된다면, 서서히 거지가 될 수도 있다. 경험해본 사람은 안다. 벼락거지는 충격과 공포지만, 서서히 거지가 되는 것은 바닷물에서 익사하고 있는 것과 다름 없다.
→ 이 경우, 나뿐만 아니라 배우자와 심지어 자녀까지 가난하게 만드는 길인 셈이다.
→ 따라서 경제와 돈에 더 밝은 사람이 경제권을 주도권으로 담당하는 것이 1차적으로는 맞다.
그런데 저희 집은 누가 더 경제에 밝은지 모르겠어요...;;
그렇다면 평소 지출 습관이나 투자성향 그리고 경제공부의 어떤 정도를 보고 판단하면 된다.
그런데 만약 '부부 경제관념이 좀 비슷한 수준이다? 누가 더 의욕적으로 할 것인가?'라면 몇 개월을 두고 같이 해보면서 결정을 하는 것이 좋다! 다만, 같이 분담하기로 했다면 서로 최소한의 역할은 정해놓는 것이 좋다.
→ 그래야 이슈가 발생했을 때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지 않고 일방적인 자기주장을 방지할 수 있다.
반응형
3. 배우자가 경제권을 넘기지 않는 진짜 이유
이런 경우가 있다. 정작 나는 정말 잘할 자신이 있는데, 배우자가 끝까지 경제권을 안 넘겨주는 경우.
이러면 배우자가 날 정말 신뢰하는 것 같지 않고 기분도 상하기도 한다. 근데 솔직히 생각해보자. 혼자서.
'내가 나라면, 이 재산 전부를 맡길 수 있을까?'
내가 어디 뭐 유튜브 구독해놓고 뉴스 좀 봤다고 경제관념이 있다고 하면서 배우자 입장에서 보면 평소 돈 쓰는 습관을 보면 그게 아닐 수 있다. 사고 싶은거 있으면 생각없이 카드 긁거나 비슷한 걸 비교해서 저렴하게 샀다는 둥의 말로 포장해서 지출이 꾸준하지는 않았는지.
스스로 위의 질문을 자문했다면 대답은 대개 아래 둘 중 하나이다.
1) 맞아. 솔직히 생각해보면 나한테는 아직은 못 맡길 것 같아. 하지만 앞으로 내가 잘할게
→ 스스로 내공부터 쌓는게 먼저입니다. 가계부 쓰고, 책 읽고 강의 보면서 공부하는 등
→ 자기 스스로에 대한 신뢰가 쌓일 정도는 되어야 한다.
2) 나라면 맡기겠는데, 왜 못 맡기겠다는거지? (대부분 이런 경우가 많음)
→ 이 경우, 배우자가 불안해 하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거나 물어봐야 한다.
→ 배우자의 관점에서 내가 그동안 경제관념이 있고, 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적이 없지는 않았는지.
→ 배우자로 하여금 신뢰를 쌓는 것이 먼저이고 서로 간 합의가 필요하다.
Tip) 배우자가 신뢰를 갖지 못할 때는 숫자로 보여주는 것이 좋은 효과를 내는 경우가 많다.
Good Example)
우리가 이런 방법으로 돈을 모은다면 소득에서 한달 저축률이 50%고 1년으로 보면 3천만원 모일거고, 3년 안에 1억을 모아서 어느 지역 어느 아파트에 가면 어떨까? 그런 계획을 세워보자.
Bad Example)
아니 내가 결혼해서 이렇게까지 막 비굴하게 부탁하면서 해야 되나.. 이런다면 답이 없다.
→ 이러진 마십니다.
결혼을 그 사람과 했다면, 그 사람과 함께 행복해야 삶의 의미가 있지 않을까?
참고 강의 : 따라하면 누구나 억대 자산! 신혼부부 10억 달성 로드맵 (클래스유, 구채희)
'Economy & Stock > 신혼부부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벌이/외벌이/자영업 부부의 케이스별 월급 관리법! (0) | 2024.01.21 |
---|---|
부모님 용돈, 지인들 경조사 어디까지 챙겨야 할까? (0) | 2024.01.14 |
결혼 후 '돈 관리 같이' vs '각자 관리' 팩트로 간단 정리 (0) | 2024.01.14 |
흙수저 부부가 가장 빨리 부자되는 3가지 원리는? (3) | 2024.01.14 |
10억 달성을 위한 인생 로드맵과 버킷리스트 그리는 법 (4) | 2024.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