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플레이션2 美, '최악 인플레' 상황을 견디고 오히려 반등! 앞으로의 방향성은..? - 뉴욕증시가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8.2%)보다 상회(+0.1%p)하자 최초 급락 후, 다시 급반등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상승 마감.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견뎌낸 견고한 모습 →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 지수는 827.87p(+2.83%) 오른 3만 38.72.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92.88p(+2.6%) 오른 3669.91 →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32.05p(+2.23%) 상승한 1만 649.15 - 美 연방준비제도(Fed)가 더 정확한 물가지표로 판단하는 근원 CPI가 40년만에 최대폭 상승했다는 점에서 11월에도 최소 '자이언트스텝(+0.75p)'는 불가피하다는 관측에 장초반에는 급락 → 하지만, 연이은 급락으로 이미 바닥에 근.. Economy & Stock/경제 뉴스 핵심정리 2022. 10. 14. 더보기 ›› 美 통화긴축, 1980년대보다 부정효과 크다…선진국도 피해 커.. (9월 FOMC 요약) # 9월 FOMC 파월 기자회견 요약 - 금리 75bp 인상 (2.50% → 3.25%), 앞으로도 금리 인상 가능성 있어 → 2022년 말 : 4.25% ~ 4.5% → 2023년 말 : 4.5% ~ 4.75% → 2024년 말 : 3.75% ~ 4.0% ( ※ 확정은 아니며 내년에 변경될 수 있음 ) - 소비자물가지수(YoY) 8.3%, 소비자물가지수(YoY) 6.3% → 서비스와 물품 가격 등이 가파르게 상승함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반영됨 - 인플레이션 수치 목표 : 25년 연준의 장기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 → 2023년 : 2.8%, 2024년 : 2.3%, 2025년 : 2% 대로 예상 # 올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미국의 통화 긴축 - 미국의 통화 긴축과 달러 가치 상승이 1.. Economy & Stock/경제 뉴스 핵심정리 2022. 9. 24.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