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도체 전망5 한국-일본 무역분쟁 종결! - 한국 무역수지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한일 무역분쟁 종결되다! 앞으로 국내 무역수지 전망과 반도체 산업의 동향은 어떻게 변할까? 일본은 한국에 대한 반도체 핵심 3대 소재의 수출규제를 해제! 3/16일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일본은 '포토레지스트, 불화수소, 불화포리이미드'의 수출규제 해제 → 이로 인해 한국의 무역수지가 다시 회복할지가 관건 올해 연간 무역수지는 2달만에 227억 7500만달러 적자 (작년 무역적자 규모의 48% 수준) 이러한 무역적자의 주요인은 작년 8월 이후 최근까지 반도체 수출이 급속도로 축소된 것 - 해당 기간동안 반도체 수출액은 22억 6000만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41.2% 감소 일본과 관계가 개선되면 무역적자가 과연 해소될까...? 많은 전문가들은 양국 관계가 개선되면 반도체를 포함한 다양한 품목의 소재/부품.. Economy & Stock/경제 뉴스 핵심정리 2023. 3. 23. 더보기 ››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확대, 종부세 감면 등 감세의 목적과 결말은? 최근 국회를 통과한 세법개정안으로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확대, 법인세/종합부동산세 감면 등의 감세' → 국가 세수(세금으로 인한 정부 수입) 확보 우려? → 종합적으로 반도체/법인세/종부세 감면만으로 내년부터 세수 2% 감소 대표적인 감세 항목은 역시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학대" 윤석열 대통령의 재검토 지시로, 대기업/중견기업은 15%, 중소기업은 25% 상향 반도체 업계측은 좋은 소식이지만, 내년 감소하는 세수만 무려 3조 6500억원 → 2026년까지 매년 세수가 1조 3700억원씩 줄어들 전망 더불어 법인세/종부세 감면도 큰 요인 법인세 최고세율을 1%p 인하 → 내년부터 매년 3조 3000억원씩 줄어든다 종부세는 다주택자 중과 폐지 등의 대책으로 내년부터 매년 1조 3000억원씩 감소 이로써 .. Economy & Stock/경제 뉴스 핵심정리 2023. 1. 14. 더보기 ›› 이젠 차량용 반도체 시장이 화두! 앞으로의 전망은? - 삼성전자 vs TSMC -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와 반도체 혹한기에도 자율주행의 기회 - 삼성전자, '2025년 차량(전장) 메모리 1위' 달성 계획 - TSMC, 완성차 반도체 관련 신규 생산라인 구축 등 공격적인 투자 - 글로벌 경기침체와 반도체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어도 차량용 반도체는 지속적인 성장 예측 → 대만의 TSMC, 삼성전자를 제치고 올해 3,4분기 '반도체 매출 세계 1위' 달성 → 삼성전자, '2025년 차량용 메모리 1위 달성'을 목표로 파운드리에 더 투자 -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TSMC, 해외 생산기지 건설에 주력 → 미국 애리조나주에 약 41조를 투입해서 반도체 공장 건설 시작 - 삼성전자, 차량용 반도체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전장사업 강화 →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차량용 1위인 마이.. Economy & Stock/핫이슈 & 주식 종목 분석 2022. 10. 17. 더보기 ›› 美, 메모리 반도체에 140조 투자 … K-반도체 비상..!! - 美, 마이크론 "뉴욕주 중심에 미국 최대 공장 건설" - 미국 기준, 삼성전자와 TSMC 등 국외업체뿐 아니라 미국 기업들까지 대규모 반도체 공장을 본토에 짓기로 선언 → SK하이닉스는 용인에 반도체클러스터 추진하지만, 인접 여주시의 반발로 공사 지연 →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차지했던 한국이 자칫 주도권을 미국에게 내줄수도... - 미국 최대 메모리반도체 업체인 마이크론 曰, "미국 역사상 가장 큰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겠다." "향후 20년간 최대 10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 → 마이크론은 뉴욕주 북부에 있는 클레이 지역에 대형 공장을 짓기로 한다. → 자국에 공장을 짓는 기업에게 파격적 인센티브를 주는 '반도체산업육성법'에 의거, 그동안 아시아에서 반도체 를 생산해 온 마이크.. Economy & Stock/경제 뉴스 핵심정리 2022. 10. 6. 더보기 ››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승부수 … 1.4나노 양산 선언! - 삼성전자가 2027년부터 1.4나노(nm) 공정을 적용한 반도체 양산을 시작하겠다고 공표 → 글로벌 파운드리 패권을 두고 대만 TSMC와의 초격차 기술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 → 지난 6월, 세계 최초로 3나노 공정 양산을 시작. 이후 2나노 공정을 넘어 1.4나노 계획 언급 - 반도체 업계에선, '1나노 공정에 먼저 도달하는 자가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을 제패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1나노 기술은 그만큼 도달하기 어려운 영역 → 1나노 : 10억분의 1m로 머리카락 두계의 5만분의 1에 해당한다. - 삼성전자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2'을 개최 → 오는 2025년까지 2나노, 2027년에는 1.4나노 공정의 양산 체제를 도입하겠다는 로드맵 공개 - 이재용 삼성전자 부.. Economy & Stock/핫이슈 & 주식 종목 분석 2022. 10. 6.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