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넘는 테슬라보다 아반테 자동차세가 왜 더 비쌀까? 자동차세 할인혜택 축소된다?
728x90
반응형
2143만원의 아반떼 자동차세가
1억 6천만원의 테슬라X의 2배...?
재산세 고려하지 않은 자동차세 과세기준은?
목차
1) 자동차세 세액할인 혜택 축소시작. 자동차세의 기준은?
6월과 12월에 나눠서내는 자동차세를 1월에 한번에 납부하면 10%의 세액할인(연납할인)
- 올해(2023년)부터 이 혜택 축소 시작 : 2023년(7%) → 2024년(5%) → 2025년(3%)
- 조금이라도 아낄 수 있는 세금혜택이 사라져 납세자들의 불만이 큰 상태
더불어 자동차세 납세자들은 조세형평의 불만으로 쏠리고 있다.
- 우리나라는 승용차 자동차세를 단순히 배기량의 차이에 따라서 부과된다.
즉, 자동차값, 연비, 국산차와 외제차 등의 어느 기준도 자동차세와 무관하다.
- 따라서 배기량이 적으면 세금을 적게 내고, 크면 세금을 더 내는 격.

2) 1.6억원 테슬라X가 0.2억원 아반떼보다 자동차세가 적어?
위의 자동차세 과세를 '배기량'으로만 기준을 정한다면, 재산세(재산가치) 관점에서는 상당히 불공평한 세금
- 소나타 2.0 가솔린(1999cc)의 가격은 벤츠 A클래스(1991cc)의 절반값이지만, 자동차세는 조금 더 많다
→ 소나타의 배기량이 8cc 가량 더 크기 때문
배기량 구분이 없는 전기차와 내연기관을 비교하면 그 차이가 더욱 확연하다.
- 아반떼 1.6 가솔린 : 차값(2143만원), 자동차세(29만원 ↑)
- 테슬라 모델X : 차값(1억 6000만원), 자동차세(13만원 ↓)
이는 전기차끼리의 형평성 문제로도 야기된다.
- 전기차와 수소차는 배기량 구분이 없으므로 10만원으로 일괄 과세
- 현대 아이오닉5(5000만), 테슬라Y(8499만), 테슬라X(1억6000만)이지만, 자동차세는 '13만원' 동일
→ 지방교육세 30% 포함 13만원

심지어 자동차 제조사들의 배기량을 고려한편법적인실차 출시...?
자동차세가 단순히 배기량으로만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가성비를 높이기 위해 자동차세를 덜 내는 방법을 신차를 출시하게 되는 상황
ex) 1.6모델은 1599cc, 2.0모델은 1999cc 등으로 출시해 배기량의 문턱을 한끗 차이로 개발
+) 2011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영해서 '1000cc 이하, 1000~1600cc, 1600cc 초과' 총 3단계로 구성
3) 세금을 왜 자산가치가 아닌 배기량으로 매기는가? 합리적이지 않은 이유는?
Q) 그렇다면 왜 자동차세를 자산가치가 아닌 배기량만으로 기준을 삼는가?
A) 굳이 이유를 찾아면, '환경 문제'가 될 수는 있다.
- 배기량이 클수록 탄소배출이 늘고,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논리적인 이유
- 하지만, 탄소배출량은 차의 엔진, 연비, 연료의 종류까지 변수가 다양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배기량'만 두고 고려할 수는 없다.
Q) 그리고 또 어떤 부분이 합리적이지 않을까?
A) 자동차세를 부과할 때 차량의 연령에 따른 감가상각을 적용한다는 것
- 출시 후 3년~11년까지 매년 5%씩 감가. 11년이 넘으면 자동차세의 50%만 납부
- 앞에서는 환경문제로 인해 배기량을 기준으로 과세한다고 한다면, 차령에 따른 자산가치의 하락을 반영한 자동차세 감소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는 기준

4) 친환경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자동차세'
2022년 말 기준 전기차의 누적등록대수는 '39만대', 수소차는 '3만대'로 각각 전년대비 68.4%, '52.7%' 급증
- 반면, 여전히 전기차와 수소차의 세금은 지방세법상 '그 밖의 승용자동차'로 구분되어 '10만원' 일괄 부과
- 더불어 다른 친환경차인 하이브리드차는 출시된지 오래되었지만 아직까지 별도의 과세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
전반적으로 합리적이지 않은 사항에 대해 많은 자동차세 납세자들의 불만들이 있고, 사실 필자 역시 비슷한 결의 의견을 가지고 있다.
- 상대적으로 고가차량이지만 외형상의 적은 배기량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자동차세를 부담한다?
- 세금과 환경부담금의 본질적인 차이를 어느 누군가는 스스로 상기해야되지 않나 싶다.
- 지금 시대가 어느 시대인데 32년 전인 '1991'년 때 개정한 자동차세법을 아직까지 고수하고 있나..
'Economy & Stock > 경제 뉴스 핵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중은행, 이자 장사로 성과급 잔치? 매년 1조원이 넘어? 이자를 줄여라! (0) | 2023.02.15 |
---|---|
주담대 대출 갈아탈려고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이제 얼마 안 남았다고? (0) | 2023.02.11 |
92년생부터는 국민연금 한 푼도 못 받는다? 보험료를 22% 올려야 한다고? 왜? (1) | 2023.01.14 |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확대, 종부세 감면 등 감세의 목적과 결말은? (0) | 2023.01.14 |
中, 코로나19 회복하면 글로벌 경제에 부작용 영향 끼친다? 그 이유는? (0) | 2023.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