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사람들은 다 쓴다는 Public Cloud란? 초간단 쉽게 이해하자
728x90
반응형
Data Loading from Cloud
- Public Cloud -

1. Cloud
- Cloud란?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든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 Cloud를 이용하면 작업한 컴퓨터에서만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마치 여러 장소에서 동일한 구름을 관찰할 수 있듯이 어디서나 필요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2022년에는 대기업 신규 소프트웨어 투자의 20% 이상이 'Cloud First' → 'Cloud Only' 전략
→ 많은 서비스를 클라우드로 관리한다
→ CSP(Cloud Service Provider), AWS,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이 보안, 전기 공급, 서버 냉각 문제 등의 모든 것을 관리해준다. 회사 입장에서는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경제적이다.
2. Public Cloud
- Public Cloud
: 서비스 유지를 위한 모든 인프라와 IT 기술을 클라우드 사업자에서 제공 받는 형태
- Hybrid Cloud
: IT 기술(네트워크, 가상화 등)은 클라우드 사업자에게 제공받고 서비스 유지를 위한 인프라를 기업의 것과 클라우드를 혼용하는 형태
- Private Cloud
: 인프라 확충은 쉽지만, IT 기술을 확보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클라우드 사업자가 IT 기술만 따로 패키징해서 판매하는 형태 (회사 내에서 자체적으로 모든 것을 해결)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클라우드 사업자는 intrasturcture만 서비스로 제공해주고, 기업 자체에서 필요한 앱과 서비스 등을 구축하는 것
→ 서버마다 work station들이 있고, 그 위에 O/S나 환경을 세팅해주는 것이 인프라인데, 이를 '서비스화' 한다는 것은 한번의 클릭으로 서버를 생성하기만 하면 서버 위에 필요한 환경 구축의 과정들이 한번에 된다.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Infrastructure 위에서 동작할 수 있는 아키텍처 앱이나 API 등의 개발 컴포넌트를 함께 제공해주는 서비스
- SaaS (Software as a Service)
: 각종 소프트웨어나 어플리케이션까지 제공하는 서비스 형태
→ IaaS나 PaaS는 기본적으로 IT 지식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지만, SaaS는 장사/사업만 돌릴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개인사업자나 사업체가 특정 데이터만 넣어주면, 추천도 해주고 정산 등을 모두 해준다.
학습 참고 : 50개 프로젝트로 완벽하게 끝내는 머신러닝 SIGNATURE (패스트캠퍼스)
'Machine Learning > Data Load (Cloud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데이터 분석가도 Cloud를 알아야 할까? on-premise란? (0) | 2024.04.02 |
---|
댓글